노숙인 밥퍼 사역을
돕습니다

29년째 용산역 인근 노숙인들의 점심을 책임지고 있는 ‘하나님의 집’이 있습니다. 세상 가장 낮은 곳에서 이름도 빛도 없이 섬기고 있는 그들은 조재선(53) 목사와 유연옥(56)사모입니다. 

2019년 국민일보에 실린 ‘하나님의 집’ 기사 내용으로 이곳을 소개하려 합니다. 

————————————————–

29년째 용산역 인근 노숙인들의 점심을 책임지고 있는 ‘하나님의 집’이 있습니다. 세상 가장 낮은 곳에서 이름도 빛도 없이 섬기고 있는 그들은 

조재선(53) 목사와 유연옥(56)사모입니다. 


2019년 국민일보에 실린 ‘하나님의 집’ 기사 내용으로 이곳을 소개하려 합니다. 

———————————————————————

이곳에 먼저 둥지를 튼 건 유 사모였다. “24세 때 이벤트 기획사를 세워 3년여 만에 안정적인 궤도에 올릴 만큼 열정적인 청춘기를 보내고 있었어요. 그러다 원인 모를 병에 걸려 쓰러졌습니다. 27세 때였죠. 누운 채 대소변까지 받아낼 정도였으니 마른하늘에 날벼락이었죠.”

딸이 사경을 헤매자 어머니는 전국을 돌며 명의를 찾아다녔지만, 소용없었다.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간 점집에선 딸이 ‘신병’에 걸렸다며 내림굿을 받으라고 했다. 유 사모는 하나님을 찾아갔다. ‘딱 40일만 작정기도를 해보자’ 결심하고 동네 작은 개척교회에서 매일 새벽 무릎을 꿇었다. 기도제목은 오직 하나였다.

‘하나님 절 고쳐주세요. 봉사와 섬김으로 주께서 원하시는 삶을 살겠습니다.’

유 사모의 상태는 기도 37일째부터 조금씩 회복되더니 40일째엔 몸을 가눌 수 없을 정도로 심했던 고통이 대부분 사라졌다. 기적이었다. 감사기도를 하던 중 하나님과의 약속이 떠올랐다. 1996년 1월 한파가 덮친 용산역을 지나다 쓰러져 있던 백발의 할아버지를 만났다. 간신히 일으켜 세워 국밥 한 그릇을 대접한 뒤 이튿날부터 용산역에 출근도장을 찍었다. 손엔 할아버지를 위한 도시락이 들려 있었다.

일주일쯤 지나자 할아버지의 말동무가 눈에 띄었다. 도시락이 2개로 늘었다. 한 달 후엔 5개로 늘더니 3개월째부턴 100개가 필요해졌다. 매일 도시락 100개를 차량에 싣고 배달하기를 1년 6개월, 도시락으로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 왔다. 외환위기가 닥치면서 2~3개월 사이 유 사모를 찾는 노숙인이 800명으로 늘어난 것이다.

식당 하나를 임차해 ‘하나님의 집’ 간판을 걸었다. 혼자 감당할 수 없던 일손은 봉사자들이 메워줬다. 그렇게 찾아 온 봉사자 중 한 사람과 평생 동역자의 인연을 맺었다. 남편 조 목사다.

조 목사의 목회현장은 자연스레 유 사모의 사역과 하나가 됐고 배식소 입구엔 ‘하나님을 사랑하는교회’와 ‘하나님의 집’ 간판이 나란히 걸렸다. 매일 점심 100여명의 노숙인이 식구처럼 밥을 먹는 자리에선 월요일마다 예배가 열린다. 30분 남짓한 시간이지만 조 목사에게는 영혼의 양식을 배식하는 중요한 시간이다.

“전엔 아무리 영의 씨를 뿌려도 열매 맺기 힘든 곳이라고만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15년 20년 만에 영접하는 분들을 보면서 하나님께서 세월과 인내를 자양분으로 주신 현장이란 생각이 들었어요.”

조 목사가 보여 준 메모장에는 그가 영접 기도를 해준 노숙인 29명의 이름과 날짜, 인적사항 등이 빼곡히 적혀 있었다. 대부분 70~80대 어르신들이었다. 그중 7~8명이 일요일에 모여 함께 예배드리는 게 ‘하나님의 집’의 주일 모습이다.

이곳에 먼저 둥지를 튼 건 유 사모였다. “24세 때 이벤트 기획사를 세워 3년여 만에 안정적인 궤도에 올릴 만큼 열정적인 청춘기를 보내고 있었어요. 그러다 원인 모를 병에 걸려 쓰러졌습니다. 27세 때였죠. 누운 채 대소변까지 받아낼 정도였으니 마른하늘에 날벼락이었죠.”

딸이 사경을 헤매자 어머니는 전국을 돌며 명의를 찾아다녔지만, 소용없었다.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간 점집에선 딸이 ‘신병’에 걸렸다며 내림굿을 받으라고 했다. 유 사모는 하나님을 찾아갔다. ‘딱 40일만 작정기도를 해보자’ 결심하고 동네 작은 개척교회에서 매일 새벽 무릎을 꿇었다. 기도제목은 오직 하나였다.

‘하나님 절 고쳐주세요. 봉사와 섬김으로 주께서 원하시는 삶을 살겠습니다.’

유 사모의 상태는 기도 37일째부터 조금씩 회복되더니 40일째엔 몸을 가눌 수 없을 정도로 심했던 고통이 대부분 사라졌다. 기적이었다. 감사기도를 하던 중 하나님과의 약속이 떠올랐다. 1996년 1월 한파가 덮친 용산역을 지나다 쓰러져 있던 백발의 할아버지를 만났다. 간신히 일으켜 세워 국밥 한 그릇을 대접한 뒤 이튿날부터 용산역에 출근도장을 찍었다. 손엔 할아버지를 위한 도시락이 들려 있었다.

일주일쯤 지나자 할아버지의 말동무가 눈에 띄었다. 도시락이 2개로 늘었다. 한 달 후엔 5개로 늘더니 3개월째부턴 100개가 필요해졌다. 매일 도시락 100개를 차량에 싣고 배달하기를 1년 6개월, 도시락으로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 왔다. 외환위기가 닥치면서 2~3개월 사이 유 사모를 찾는 노숙인이 800명으로 늘어난 것이다.

식당 하나를 임차해 ‘하나님의 집’ 간판을 걸었다. 혼자 감당할 수 없던 일손은 봉사자들이 메워줬다. 그렇게 찾아 온 봉사자 중 한 사람과 평생 동역자의 인연을 맺었다. 남편 조 목사다.

조 목사의 목회현장은 자연스레 유 사모의 사역과 하나가 됐고 배식소 입구엔 ‘하나님을 사랑하는교회’와 ‘하나님의 집’ 간판이 나란히 걸렸다. 매일 점심 100여명의 노숙인이 식구처럼 밥을 먹는 자리에선 월요일마다 예배가 열린다. 30분 남짓한 시간이지만 조 목사에게는 영혼의 양식을 배식하는 중요한 시간이다.

“전엔 아무리 영의 씨를 뿌려도 열매 맺기 힘든 곳이라고만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15년 20년 만에 영접하는 분들을 보면서 하나님께서 세월과 인내를 자양분으로 주신 현장이란 생각이 들었어요.”

조 목사가 보여 준 메모장에는 그가 영접 기도를 해준 노숙인 29명의 이름과 날짜, 인적사항 등이 빼곡히 적혀 있었다. 대부분 70~80대 어르신들이었다. 그중 7~8명이 일요일에 모여 함께 예배드리는 게 ‘하나님의 집’의 주일 모습이다.

식사를 나눠주고 있는 조재선 목사와 유연옥 사모 [사진 제공 국민일보]

4월 8일(월), 하나님이 주신 마음을 가지고 ‘하나님의 집’에 전화를 걸었습니다. 목소리가 아주 인자한 유 사모님이 전화를 받았습니다. 교회를 소개하고 쌀을 좀 보내려고 한다고 말하자, 유 사모님은 저렴하고 품질 좋은 쌀을 구매하는 곳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다른 필요한 물품이 있는지를 물으니 고추장이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본인도 쿠팡에서 구매하고 있으며, 그곳이 제일 저렴 할 것이라 조언도 해주었습니다.

29년째 노숙인 밥퍼 사역을 하고 있는 ‘하나님의 집’에 고추장 84kg을 구매하여 보냈습니다. 이 일을 위해 여러분이 드린 부활절기헌금에서 179,940원을 사용했습니다. 오늘도 우리는 살립니다. 사랑합니다. 

4월 8일(월), 하나님이 주신 마음을 가지고 ‘하나님의 집’에 전화를 걸었습니다. 목소리가 아주 인자한 유 사모님이 전화를 받았습니다. 교회를 소개하고 쌀을 좀 보내려고 한다고 말하자, 유 사모님은 저렴하고 품질 좋은 쌀을 구매하는 곳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다른 필요한 물품이 있는지를 물으니 고추장이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본인도 쿠팡에서 구매하고 있으며, 그곳이 제일 저렴 할 것이라 조언도 해주었습니다.

29년째 노숙인 밥퍼 사역을 하고 있는 ‘하나님의 집’에 고추장 84kg을 구매하여 보냈습니다. 이 일을 위해 여러분이 드린 부활절기헌금에서 179,940원을 사용했습니다. 오늘도 우리는 살립니다. 사랑합니다.